자화자찬과 비난으로 도배된 공청회, 재정적 독립 고민 없어
  • ▲ 주유신, 곽경택 강남주, 황보승희, 최용석, 김지석 /사진=뉴데일리
    ▲ 주유신, 곽경택 강남주, 황보승희, 최용석, 김지석 /사진=뉴데일리
    9일 부산영상벤처센터에서 ‘부산국제영화제 미래비전과 쇄신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가 열렸다. 
    김지석 부산국제영화제 수석프로그래머, 강남주 전 부경대 총장, 곽경택 영화감독, 주유신 영산대교수, 최용석 부산독립영화제 부대표, 황보승희 부산광역시 시의원이 패널로 참석했다. 
    김지석 부산국제영화제 수석프로그래머는 부산시 지도점검으로 밝혀진 조직위원회의 부정과 부패에 대해 “최근 불거진 일에 대해 죄송하다”면서 “부산시와 쇄신안을 협의 중이며 지도점검 결과에 대한 답변서는 몇 주 안으로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쇄신의 방향에 대해 그는 지역과의 소통 방법, 산업적 역할, 부산국제영화제 위상 제고, 지켜야 할 영화제의 정체성 등 4가지를 제시했다. 
    강남주 전 부경대 총장은 “부산국제영화제 성장은 양질의 프로그래머 덕분”이라며 “도교국제영화제가 쇄락한 원인은 지역과의 불화와 관습에 위축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쇄신의 방향성에 대해 그는 “프로그래머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쪽으로 진행돼야한다”고 주장했다.
    곽경택 영화감독은 “시와 영화제가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어 아쉽고 속상하다”고 전제한 뒤 ‘민주화와 영화산업의 발전은 그 궤를 같이 했다. 영화와 영화제의 특성과 고유성을 살려야 하고 검열은 안 된다’는 내용으로 의견을 피력했다.
    황보승희 부산시의원은 “부산시민의 입장에서 보면 영화제 집행부의 문제점들은 개선돼야 한다”고 밝힌 뒤 “다이빙벨 상영으로 인해 많은 시민들이 영화제에 대한 불만을 제기했고 이런 차원에서 부산시가 지도점검을 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밝혔다.
    주유신 영산대 교수는 황보승희 시의원의 발언을 두고 “정치인이라 다르다”고 비꼬며 ‘영화가 정치에 휘둘려서는 안 된다’거나 ‘영화제를 압박하거나 영화를 검열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주장을 펼쳤다.
    이날 공청회는 그들만의 성토장이었다. 토론자의 구성에서부터 사회자의 진행까지 짜여 진 각본에 의해 연출된 것이란 느낌을 받았다. 주장과 반론이 이어지는 모양이 아닌 일방적인 주장의 반복이었다. 
     ‘부산시가 언론에 자료를 흘렸다(영상대 주유신 교수)’는 추측성 발언을 사실처럼 밝히고 ‘영화제 고유의 지출 방향은 믿고 맡겨야 하고, 현재 영화제는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비교적 잘해나가고 있는 상황’이라는 아전인수식 주장도 나왔다. 영화 발전을 위해 더 많은 예산이 지원돼야 한다는 얘기도 있었다. 
    부산시는 영화 발전을 위해 이미 수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했지만 이들은 아직도 돈 타령이다. 세금을 지출하면 감사는 당연한 일이지만 이들은 영화란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검열이란 정치적 수사를 쓰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재무적 간섭이 싫으면 재정적 독립을 어떻게 이룰 것인지 고민해야 하지만 이런 논의는 없었다. 문화, 예술, 체육의 진흥을 위해 국가가 전면에 나섰던 구시대적 사고에서 헤매고 있는 것이다. 
    '영화가 민주화와 궤를 같이했다'는 곽경택 감독의 말이 틀린 말은 아니지만 산업화를 통해 국력이 신장되고 국민소득이 증대되지 않았다면 오늘의 부산국제영화제는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란 점은 간과했다. 
    한류라는 거대한 물줄기와 부산시의 전폭적인 지원을 빼고 양질의 프로그래머들이 있어서 오늘의 부산국제영화제가 있었다는 그들의 주장은 ‘자화자찬’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수익사업 확대를 통해 부산시 지원 예산을 10%만 줄여주면 독립영화 발전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투명한 재정운영을 통해 10%의 예산을 절감한다면 열악한 연극계를 키울 수 있는 종자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들은 모르는 것일까?
    법과 규칙을 어가면서 지원예산을 목적과 다르게 쓰는 것은 범죄다. 부산국제영화제라고 예외가 될 수는 없는 일이다. 죄를 저질러놓고도 ‘정치적 보복, 독립성 훼손’이란 ‘정치적 수사’ 뒤에 숨는 것은 ‘비겁한 변명’일 뿐이다. 

    [사진=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