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델타·강서산단 일대 1511만㎡ 규모 AI전력망·ESS 결합한 신산업 모델 구축
-
- ▲ 부산 분산에너지특구 강서 스마트그리드 개요.ⓒ부산시
부산이 대한민국 첫 '분산에너지특구 1호 도시'로 지정됐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5일 열린 에너지위원회에서 부산과 경기·전남·제주 등 4곳을 분산에너지특화지역으로 최종 확정했다.울산·경북·충남 등 3곳은 추가 심의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보류됐다.분산에너지특구는 에너지를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해 소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제도로,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에 따라 지정된다.특구 내에서는 발전사업자가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지역 내 전력을 직접 거래할 수 있다.부산시는 세 가지 유형 중 '신산업활성화형'으로 지정됐다.대상 지역은 에코델타시티, 명지지구, 명지녹산·미음·신호·화전·생곡·국제물류도시 등 강서권 6개 산업단지를 포함한 총 49.9㎢(약 1511만㎡) 규모로, 국내 최대 규모의 도시형 분산전원 실증지로 꼽힌다.핵심 사업은 '강서스마트그리드' 구축이다.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활용한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인공지능(AI) 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을 결합해 생산된 전력을 실시간으로 저장·공급하는 체계를 구현한다.부산시는 2027년까지 ESS 250MWh, 2030년까지 500MWh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약 4만2000가구의 하루 사용량이자 첨단 데이터센터 5곳을 운영할 수 있는 수준이다.산업단지별로 심야에 충전한 전력을 주간 피크 시간대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기업 전력요금을 줄일 수 있다.부산시는 기업당 최대 8%, 전체적으로 연간 157억 원의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예상했다.또 기업이 초기 투자비 없이 ES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구독형 모델'을 도입해 총 2500억 원 규모의 설비투자비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대규모 ESS는 재생에너지의 불안정한 공급을 조정해 출력 제한을 완화함으로써 연간 44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부산시는 이러한 기반을 통해 반도체·데이터센터·인공지능(AI) 등 전력 다소비형 첨단기업 유치를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분산특구 사업에는 LG CNS·누리플렉스·한전KDN·엔솔브(옛 부산정관에너지) 등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며, 총 2094억 원이 투입된다. 사업 기간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다.박형준 부산시장은 "분산에너지특구 1호 지정은 부산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도시로 전환하는 출발점"이라며 "강서스마트그리드를 기반으로 기후위기 대응과 산업경쟁력 강화, 두 목표를 함께 달성하겠다"고 장담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