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시장 김기현)는 7월 2일 오후 2시 ㈜효성 용연공장에서 세계 최초 친환경 플라스틱 신소재인 ‘폴리케톤(Polyketone)’ 상용화 원천기술을 개발한 ㈜효성(대표이사 이상운)과 1조 원대의 폴리케톤 공장 건설 투자를 위한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투자양해각서에서 투자사인 (주)효성은 2021년까지 1조 원을 투자하여 기존공장과 연접하고 있는 울산시 남구 용연동 산96번지 일원에 20만 8,000㎡의 산업용지를 개발, 미래 신소재인 ‘폴리케톤’ 공장과 R&D센터를 건설하기로 했다.
이에 울산시는 침체된 석유화학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도화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면서 투자사의 생산공장 건설에 필요한 부지확보 및 공장건설 관련 인·허가 등의 행정지원과 세제감면 등이 가능토록 적극 협조키로 했다.
또한, ㈜효성은 ‘폴리케톤’ 공장 건설사업에 울산 지역기업을 적극 참여시키고, 완공 후 인력 채용 시 울산시민을 최우선 고용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발전에 기여하기로 합의했다.
㈜효성은 남구 용연동 산 96번지 일원 국가산업단지내에 총 1조원 (‘17년까지 3,000억원, 2018~19년 3,500억원, 2020~2021년 3,500억원)을 투자하여 연36만여명 (직접고용 500여명, 건설인력 600여명/1일평균)의 고용창출할 계획이며, ㈜효성은 원부재료 확보가 용이한 기존 석유화학 단지 인프라를 활용하여 폴리케톤 Cluster 구축 및 R&D센터를 건설하여 폴리케톤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세계시장 점유율 30%달성할 계획이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세계시장 규모는 2012년 60조원에서 2020년 82조원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폴리케톤이란 대기오염 물질인 일산화탄소와 올레핀(에틸렌,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친환경 고분자 신소재를 말한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내충격성과 내화학성은 기존 나일론보다 2배이상 우수하며, 내마모성은 기존 최고소재인 POM(Poly Oxy Methylene)보다 14배이상 우수한것으로 평가된다. 뛰어난 기체차단성으로 자동차, 전기제품, 산업용, 섬유용부품 소재로 활용될것으로 기대되는 신소재이다.
폴리케톤 산업은 미래부,산업부 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끌어갈 2차 프래그쉽 프로젝트로 선정되어, 국가 전략소재로 육성 추진하기 위해 녹색인증부여및 보급.수출 확대 지원과 R&D예산을 우선지원할 계획이다.
* 1차 플래그쉽 프로젝트: 탄소섬유, ESS, 웰니스케어 프로젝트선정(‘14.5.26)
* 2차 플래그쉽 프로젝트: 폴리케톤, 연료전지, 차세대 영상 상영 시스템선정(‘15.1.8)
그간, (주)효성은 정부 2차 프래그쉽 프로젝트로 ‘폴리케톤’이 선정되어 신규 공장건설 부지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나,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에는 여유부지가 없어 타 지역의 장소를 물색해 왔다.
-
이에 김기현 울산시장은 서울을 수차례 오가며 (주)효성 최고경영자를 만나 울산에 투자해 줄 것을 요청하는 한편, 효성 용연2공장 인근지역인 SK에너지(주)의 개발예정 부지 일부를 활용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이후, 울산시와 SK에너지(주), (주)효성은 부지활용T/F를 구성하여 위치, 면적 등에 관해 수차례의 협의를 거쳐 부지 일부를 ㈜효성에 할애하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고, 이 같은 노력으로 1조 원대의 투자유치로 이어졌다.
(주)효성은 폴리케톤이 소재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핵심축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2014년부터 1,250억 원을 투자해 용연 2공장 내 부지에 연산 5만 톤 규모의 공장을 건설 중에 있으며, 올해 하반기 완공과 함께 본격 양산에 들어 갈 예정이다.
또한, 2021년까지 총 1조 원을 투입 30만 톤 규모로 확대 생산하여 시장규모만 66조 원에 달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부문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30% 이상을 달성할 계획이다.
김기현 울산시장은 “폴리케톤은 기존 산업소재보다 내충격성·내마모성·내화학성이 뛰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대표 소재가 될 것이다. (주)효성의 이번 투자가 신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창조경제의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효성 이상운 대표이사는 “이번 김기현 울산시장의 부지확보 배려가 없었다면 타 지역에 신규투자가 이뤄졌을 것”이라며, “원·부재료 확보가 용이하고, 기존 석유화학 단지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울산에 폴리케톤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은 울산시에 감사함을 전한다. 지역주민 및 지역기업들과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울산 경제 활성화와 지역발전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의 지난해 국내·외 기업 투자유치는 역대 최고인 24억 불의 외자유치를 포함 76개사, 4조 7,774억 원으로 총 2,936명의 일자리를 창출하였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도 울산의 강점인 자동차, 조선, 화학산업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전·후방연관기업을 발굴하고, 취약부문인 숙박, 관광, 의료, 유통 등의 서비스산업과 미래 성장동력을 위한 R&D 관련 업종도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