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분산형 전원 확대, 에너지 수요 감축, 온실가스 감축 등
  • ▲ 제7차 지역에너지계획 요약.ⓒ부산시
    ▲ 제7차 지역에너지계획 요약.ⓒ부산시
    부산시가 에너지 자립도 향상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확정했다. 

    부산시는 '에너지법'에 따라 수립하는 법정 중기 계획인 '제7차 지역에너지계획'을 지난 6월 말 최종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2030년까지 5년간 부산지역 에너지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전략으로 △'신재생에너지' 전력자립률 13.5% 달성 △'분산형 전원' 2023년 대비 274% 확대 △'에너지 수요' 2030년 기준 수요 대비 15.3% 절감 △'온실가스' 2022년 대비 13.2% 감축 등을 목표로 제시했다.

    부산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확대를 위해 태양광·해상풍력·연료전지 등 공급 부문에서 2023년 738GWh 수준의 전력 생산을 2030년까지 3620GWh로 약 390%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수요 관리 측면에서는 산업·수송·건물·공공 등 4개 부문 53개 사업을 통해 에너지 절감과 시민 주도 전환을 유도한다.

    분산형 전원도 대폭 늘린다. 연료전지·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포함해 2023년 1054GWh에서 2030년까지 3936GWh로 274% 확대한다. 이는 대규모 송전망에 의존하지 않고 지역 내 자급자족형 전력 생산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조치다.

    에너지 수요 관리 목표는 2030년 기준 735만 TOE(석유환산톤)에서 622만 TOE로 112만 TOE(15.3%) 감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도 2022년 2492만 톤에서 2164만 톤으로 13.2%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계획 수립 과정에서 시민 10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공청회를 실시하고, 청년세대 소통 프로그램 '클린에너지 청년서포터즈'도 운영해 의견을 수렴했다. 또 에너지 전문가와 실무단 운영을 통해 실현 가능성과 타당성을 검증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4차 첨단 산업은 부산의 미래 성장동력이지만, 이에 따른 전력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해 더욱 적극적인 신재생에너지 보급 노력이 필요하다"며 "계획된 사업들을 차질 없이 추진해 에너지 전환을 실현하는 녹색도시 부산을 만들어가고, 동시에 관련 산업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