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인 대상 전문 재활시설 전무… 직업재활시설 설치 촉구
-
- ▲ 진주시의회 김형석 의원은 지난 22일 열린 제269회 진주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정신장애인이 직업재활을 통해 정신장애인도 일할 권리 보장받아야 할 것 이라고 발언 하고 있다.ⓒ진주시의회
김형석 진주시의회의원은 지난 22일 열린 제269회 진주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정신장애인이 직업재활을 통해 어엿한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역할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면서 행정의 적극적인 추진 의지를 주문했다.
이날 김 의원은 “진주시 등록장애인 1만7746명 중 정신장애인은 약 5%인 886명이지만, 이들을 위한 전문 직업재활시설은 단 한 곳도 없다”며 “이제는 치료 외에도 일할 권리와 사회적 참여의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직업재활시설이 일자리 제공뿐 아니라 자존감 회복과 사회적 관계망 형성에 기여하는 복지 인프라”라며, 진주에는 이미 이러한 사업을 뒷받침할 여건이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경상국립대학교병원과 정촌산업단지는 치료-재활-고용의 연계 중심축이 될 수 있고, 지역 공공기관과 기업 역시 파트너로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지원은 국가와 지자체의 법적 의무”라며, 초기에는 소규모로 시작하더라도 의료·복지·고용 네트워크를 연계한 통합 지원 모델을 구축하고 조례 제정과 국·도비 확보로 제도적 기반을 다져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