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단계 컨테이너크레인, 트랜스퍼크레인 등 3차 공고
  • ▲ 부산항만공사 전경.ⓒ부산항만공사
    ▲ 부산항만공사 전경.ⓒ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BPA)는 부산항 신항 서컨테이너 2-6단계 부두의 국산 항만장비 제작과 설치를 위한 3차 입찰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대상 항만장비는 컨테이너크레인 6기와 트랜스퍼크레인 34기다.

    BPA는 지난해 11월과 지난 2월 등 2차례에 걸쳐 국내 제작업체를 대상으로 이들 항만장비 입찰을 진행했으나 모두 유찰됐다. 이에 BPA는 국산장비 제작비용 급등이 유찰 원인인 것으로 파악하고, 사업비를 조정해 지난 5월20일 3차 입찰공고를 게시했다.

    BPA는 지난달 5일 국내 첫 완전자동화부두로 개장한 신항 서컨테이너2-5단계에 국산 컨테이너크레인 9기와 트랜스퍼크레인 46기를 제작, 설치한 바 있다.

    2-5단계에 이은 2-6단계 국산 항만장비 발주는 국내 기술 중심의 자동화 항만을 실현하겠다는 정부 정책과 BPA의 의지에 따른 것이다.

    강준석 BPA 사장은 "항만장비 국산화를 통해 신항 7부두를 한국형 최첨단 스마트항만으로 조성하고, 연관 산업 육성과 고용창출에 기여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