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화 시대 대응, 의료·복지 연계 돌봄 서비스 체계 확대
  • ▲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24일 2월 도민회의를 열고 인사말을 하고 있다.ⓒ경남도
    ▲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24일 2월 도민회의를 열고 인사말을 하고 있다.ⓒ경남도
    경남도가 모든 도민이 필요한 돌봄 서비스를 제때 받을 수 있도록 통합돌봄 체계를 구축하는 데 박차를 가한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24일 '2월 도민회의'를 열고 돌봄 분야 전문가와 정책 수혜자 등 10명을 초청해 통합돌봄 정책의 실효성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는 초고령화 사회 진입과 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마련됐다.

    박 지사는 인사말에서 "도민들에게 중요한 것은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어디인지가 아니라 필요한 서비스를 얼마나 편리하게 받을 수 있는가"라며, "각 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통합적인 돌봄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도민 모두가 돌봄의 대상이라는 원칙 하에, 중노년층, 장애인, 아동, 위기가정 등 모든 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박선희 경남연구원 복지동행정책팀장은 '경남형 통합돌봄 추진계획'을 발표하며, 통합돌봄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양영자 경남대학교 교수는 의료, 보건, 복지 등 각 분야 간의 칸막이를 허물고, 임종돌봄 서비스 도입을 통해 말기 환자 돌봄 체계를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김희란 경남사회서비스원 김해종합재가센터장은 돌봄 수요 증가에 대비한 돌봄 활동가 대상 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활동가들의 동기부여 방안 마련 필요성을 강조했다.

    서은경 경남장애인가족지원센터장은 장애인 복지에서 수요자 발굴의 한계를 지적하며, 민관 협력을 통한 사례 상담과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홍성호 경남가족센터 사무국장은 다양한 민관 서비스 기관의 협업을 통해 돌봄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경남형 통합돌봄의 실제 사례와 시군 통합돌봄 조직 운영을 위한 인력 확보와 아이돌보미 교육 장소 추가 마련 등 정책 제안이 이어졌다.

    박 지사는 "도민 모두가 돌봄의 대상"이라며 "복지 정책이 특정 계층만이 아닌 노인·장애인·아동·중년층·위기가정 등 모든 도민을 포괄해야 하며, 이를 위해 통합돌봄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