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밀양시니어클럽 노인일자리 스마트팜 현장 방문초고령화시대, 시장경쟁력과 지속가능성 갖춘 일자리 개발·지원 필요노인일자리 안전관리 방안도 세심히 챙겨야
  • ▲ 경남도의회 문화복지위원회가 밀양시니어클럽 노인일자리 스마트팜 현장을 방문했다. ⓒ경남도의회 제공
    ▲ 경남도의회 문화복지위원회가 밀양시니어클럽 노인일자리 스마트팜 현장을 방문했다. ⓒ경남도의회 제공
    경상남도의회 문화복지위원회(위원장 김재웅)가 제413회 임시회 기간 중 16일 밀양시 삼랑진읍에 위치한 밀양시니어클럽 노인일자리 스마트팜 현장을 방문했다. 

    초고령화시대에 따른 지속 가능한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현지 의정활동이다.

    밀양시니어클럽 ‘노인일자리 활용 스마트팜’은 2023년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의 복권기금을 지원 받아 조성된 시설로, 미세먼지저감식물을 재배해 사회복지시설 등 취약시설에 수직정원 형태로 보급하고 사후관리까지 제공하는 신규 노인일자리사업이다. 밀양시니어클럽 스마트팜에는 현재 20명의 지역 어르신이 참여하고 있다.

    김철오 밀양시니어클럽 관장은 “노인인구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각 시·군에서 추진하는 노인일자리사업이 빈곤 예방과 활기찬 노후생활을 보내는 데 효과를 보이고 있다”며 “다만, 어르신들의 신체적·정신적 활동 능력에 적합한 노인일자리를 개발하고 지속 가능한 시장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신규 사업 개발과 보급처 확대, 판로 개척 등 행정적·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위원들은 “노인일자리사업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맞춤형 일자리 개발은 물론 매출도 중요”하다며 “각 개별기관이 판로 개척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겠지만 구조적 측면에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행정에서 더욱 적극적인 현장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위원들은 이어 “노인일자리 참여 어르신이 급증하는 만큼 안전사고 우려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각 기관과 경남도에서는 노인일자리 참여 어르신을 위한 안전관리대책도 더욱 세심하게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에 경남도 관계자는 “노인일자리가 더욱 안전하고 활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예산을 지속 확대하고 노인일자리 참여 어르신에 대한 안전관리계획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성을 갖춘 노인일자리가 시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남의 2024년 노인일자리 예산은 국비·도비·시군비 포함 약 1877억 원 규모이고, 도내 6만4563명의 어르신이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김재웅 위원장은 “어려운 여건에서도 매년 신규 노인일자리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관련 기관 종사자 및 관계 공무원의 노고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경남의 고령화율이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고 관련 예산 규모도 급증하고 있는 만큼 더욱 내실있게 사업을 추진해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도의회 문화복지위원회 위원들은 20일부터 진행되는 ‘경상남도 2024년 제1회 추경예산안’ 예비심사를 앞두고 17일까지 이틀간 도내 6곳(무진정, 악양생태공원, 칠서 강나루생태공원, 선샤인밀양테마파크, 영남루, 밀양시니어클럽)의 문화·관광·복지시설을 직접 방문해 현장의 정책추진 상황과 애로사항을 청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