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는 향후 10년간 동구 초량동을 포함한 부산 시내의 26곳을 상대로 도시재생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할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구․군에서는 이 계획에 부합하도록 도시재생활성화 계획을 수립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도시재생이란 기존 도시의 문화, 경제, 주거지로서의 역할을 파괴하지 않고 도시의 원형을 보존하면서 도시 기능에 활력을 불어넣는 작업으로 부산시의 도시재생사업추진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근대화 과정에서 생성된 근대 문화유산을 보전 및 발굴
2. 동시에 노후화된 근대 역사 건조물 재활용 방안 강구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 도모
3. 재생된 지역 문화 공간을 활용해 지역민의 애향심과 자긍심을 함양
4. 미래 후손을 위한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도시로의 발전을 목표
대표적 부산 도시재생사업으로 '행복 마을 만들기’와‘커뮤니티 뉴딜정책’ 이 있다.
이번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은 쇠퇴진단지역에 대해 무분별한 개발은 지양하고, 도시특성을 반영하면서 산업·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곳과 구·군의 도시재생 의지가 높은 지역을 우선하여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하여 향후 10년간 도시재생의 실행력을 높이려 하는데 특징이 있다.
시는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을 위해 ’14년 5월 용역을 발주하여 쇠퇴 및 잠재력 진단, 도시재생 추진전략,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선정 등 계획안을 마련하고 시민공청회, 시의회의견 청취,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하였다.
계획수립에 따른 도시쇠퇴 진단결과, 부산에는 8.15 광복후 귀환동포, 6.25한국전쟁 난민의 정착촌 형성과 60~70년대 산업발전, 90년대 산업구조 전환 등 근·현대사의 자취가 도시구조 속에 남아서 총 214개동 중 84.6%에 해당하는 181개동이 인구감소, 사업체 수의 감소, 건축물의 노후 중 2가지 이상의 쇠퇴현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부산시에서는 도시를 크게 4개 권역(원도심, 중부산, 동부산, 서부산)으로 구분해 광범위한 쇠퇴지역에 대한 권역별 전략구상을 마련했으며, 그 중 부산항 일원을 도심수변구역, 낙동강 일원을 강변산업구역으로 구분하여 향후 10년간 중점구역으로 설정했다.
전략구역에는 수변에 위치한 항만시설(남항, 북항 등), 산업시설(사상공업지역)을 주변에 분포하는 다양한 근·현대의 문화유산 및 자연환경(낙동강둔치,을숙도생태공원)과 연계하여 복합공간으로 재창조하고, 이를 통해 동·서간 균형발전과 미래 부산의 발전을 견인하는 중추지역으로 재창조하려는 부산형 도시재생의 방향성을 담았다. -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그 목적에 따라 항만, 철도, 산업단지 등 광역적 핵심기능 재생을 위해 시의 주도로 추진되는 ‘도시경제기반형’과 근린생활권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구·군 주도로 추진되는 ‘근린재생형’으로 구분되고, 근린재생형은 도심, 부도심의 경제활성화 등을 위한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과 낙후된 주민생활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 근린재생형’으로 구분된다.
이번 도시재생전략계획에서는 부산역(선도사업), 사상 및 금사공업지역(쇠퇴산업재생)일원 3개소를 ‘도시경제기반형’으로 지정했다.
또한 상업지역과 도시기본계획상 부도심 및 역세권의 활성화를 위해 서면, 구포시장(덕천), 동래온천장 등에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 7개소, 주거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반송·반여동, 감천동, 대저동 등에 일반 근린재생형 16개소를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해 도시활력증진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마중물사업비는 3900억 원이며, ‘부산광역시 도시경제기반형 복합재생 활성화계획’ 사업비 2952억 원,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 사업비 1500억 원, 기추진 도시재생사업비 8682억 원 등 향후 10년간 도시재생에는 총 1조 7천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부산시 도시재생과 김경환 담당자는 “그 동안 부산시는 도시재생 선도도시로서 감천문화마을 재생 등의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왔고 향후 10년간의 도시재생사업 효율을 위해 ‘부산광역시 도시재생 전략계획’ 을 수립, 지금껏 추진해 왔던 재생사업들이 제도적 뒷받침 위에 더욱 활발하게 추진되도록 할 전망이다.”고 전했다.
또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대하여는 활성화계획을 조속 수립하여 매년 2~4개 지역에 대해서 국가지원을 받아 도시재생사업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한편, 부산시는 11월 중 도시재생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확정된 사항을 공보에 공고하고 시민들이 열람하도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