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8월18일. 부산시 기장군 정관면 코리일반산업단지에 입주한 A기업에 황당한 일이 일어났다.
직원들이 출근해 업무를 시작할 무렵 엄청난 소리와 함께 수천 톤의 토사가 붕괴된 옹벽과 함께 주차장을 덮쳐 차량 여러 대를 매몰시키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직원들은 놀란 가슴을 쓸어내려야했다
지난해 분양을 받아 공장을 가동한지 3개월 만에 벌어진 일이다.
-
-
(좌=붕괴사고 당시 사진 2014.8) (우=현재 사진2015.2.9 )
사고가 있은 지 6개월, 그 곳을 다시 찾았다.
지금까지도 사고 수습은 고사하고 추가붕괴방지를 위한 아무런 조치도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붕괴 원인에 대한 조사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A기업 관계자에 따르면 부산시청, 기장군청 공무원이 사고 직 후 단 한차례 현장 확인 차 왔다 갔을 뿐, 산업단지를 조성해 분양한 (주)코리녹스, 붕괴된 토지 소유주 등은 사고수습은 고사하고 현장에 와보지도 않았다고 한다.
사진으로 확인되듯이 사고 후 6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추가붕괴를 막는 안전펜스나 안전 그물망도 없이 방치되고 있어 기자가 보기에도 위태위태해 보인다.
A기업은 공장 재가동을 위해 사고 후 흘러내린 수천 톤의 토사를 수천만원을 들여 치웠다고 한다. 기장군은 공장건물 2동 중 붕괴된 축대 쪽 1동에 대해 가동중지명령을 내렸다. 120여억을 투자해 신축한 공장을 현재까지 50%밖에 가동을 하지 못 하고 있는 상황이다..이처럼 A기업은 사고로 엄청난 피해를 보고 있지만 복구비용 책임 때문에 붕괴 원인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복구는 엄두를 못 낸다.
해빙기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시기지만 안전진단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기장군청이나 공단을 조성한 (주)코리녹스는 추가 사고 위험을 외면하고 있다.
<뉴데일리>는 20m넘는 수직 옹벽을 계단식으로 올려 조성된 코리일반산업단지를 둘러보고 지역 주민들의 얘기를 들으면서 ‘이런 곳에 어떻게 산업단지조성 허가가 났을까’란 의문이 생겼다.
기장군 정관면에는 2010년 초에 LH공사가 공영개발방식으로 개발한 정관일반산업단지가 있다. 정관신도시와 연계하여 산업공간과 주거공간이 아우러지는 일부 자족기능을 가진 산업단지이다.
코리일반산업단지는 민간개발에 의해 조성된 산업단지다. 지난 2010년 10월 정관일반산업단지에 연접한 자연녹지 약 84,050㎡ 상당을 (주)코리녹스가 공업지역으로 용도지역을 변경해 조성한 곳이다.
허가 당시 용도지역 변경과 관련해 논란이 있었다.
-
(사진 =naver 지도 캡쳐)
기장군 출신 박인대 부산시의원은 2010년 11월 16일 부산광역시 제205회 정례회 본회의에서 코리일반산업단지 지정승인의 부당성을 지적했다.
“코리일반산업단지는 기존 개발된 지역과는 지반 상 고저차이가 상당히 크고 경사가 심해 정관산업단지 조성 당시 사업대상에서 제외됐던 곳으로 향후 들어설 각종 산업시설에 대한 완충녹지공간으로 남아있던 달음산 산자락지역이다.
정관면의 산들은 지반이 약해서 산사태가 잦은 지역이고 문제지역 인근도 실제로 옹벽이 붕괴된 사례가 있어 기장군청에서도 지금도 비만 내리면 지반붕괴를 우려하여 비상근무를 서게 하는 재해위험지구이다“
박 의원의 주장을 빌리면 ‘코리일반산업단지는 작년 8월 붕괴된 곳을 포함해 전체가 계단식 구성으로 되어 있어 붕괴의 위험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라고 추정할 수 있다.
붕괴 사고의 직접적인 피해자인 기업대표의 말에 의하면 지금도 비만 오면 새벽3시든, 4시든 공장에 나와 보고 있으며, 직원들도 출입할 때마다 조마조마하다고 한다.
세월호 사고이후 우리 사회에 만연한 안전불감증을 없애기 위해서라도 <뉴데일리>는 취재를 통해 코리일반산업단지의 조성배경을 밝혀보고, 부실시공은 없었는지, 과연 또 다른 기업이 입주해도 안전한지, 안전진단의 결과는 왜 이렇게 오래 걸리는지, 용도변경의 문제는 없었는지, 사고로 인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왜 복구가 안 되고 있는지 등등 제시되는 의문점을 하나하나 짚어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