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버스 200대 46개 임시 노선 투입, 경전철 운행 확대 등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부산시는 28일로 예고된 시내버스노조 총파업에 대비해 전세버스 200대를 긴급 투입하고, 지하철을 증편하는 등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한다.

    부산시는 막판까지 노사 간 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중재를 이어가면서도 파업 강행 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각적 대응에 나섰다.

    부산 시내버스 노사는 지난해 말부터 11차례에 걸쳐 임금협상을 이어왔지만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조는 27일 예정된 제3차 조정에서도 결렬될 경우 28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이에 부산시는 26일 김광회 미래혁신부시장 주재로 구·군과 교육청·경찰청·부산교통공사 등 관계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수송대책점검회의를 열고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부산시는 파업 시 즉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전세버스 200대를 46개 임시 노선에 투입해 마을버스나 도시철도가 없는 지역에서 주요 지하철역까지 무료 셔틀 운행을 실시한다. 운영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다.

    도시철도와 부산·김해경전철은 출퇴근 시간대 운행을 확대한다. 도시철도는 평일 기준 50회, 경전철은 10회를 각각 증편해 오전 7시부터 오전 10시, 오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배차를 늘린다.

    택시는 운휴제를 한시 해제하고, 버스정류장을 임시 택시승강장으로 전환해 수송력을 보완한다.

    이와 함께 승용차 요일제와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를 한시적으로 해제하고, 기업과 학교에는 출퇴근·등하교 시간 조정을 요청해 교통 혼잡을 분산한다는 계획이다.

    김광회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은 "가능한 한 파업에 이르지 않고 임금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우리 시는 전력을 다해 노사 양측을 설득해 나갈 것"이라며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수송대책 추진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으로, 시민 여러분의 양해와 협조를 부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