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 선정되면 50만명 고용·61조원 경제효과세계 3대 행사 모두 개최한 7번째 국가양자대결, 이탈리아 표 흡수 땐 선정 가능성
-
국가 위상을 높여줄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 개최지 선정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막판 역전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엑스포 개최 후보지는 한국의 부산, 사우디아라비아의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 등 3곳으로, 이 가운데 사우디가 가장 강력한 경쟁국으로 꼽힌다.사우디는 한국보다 앞선 1년 동안 ‘오일머니’를 앞세워 공격적인 유치 활동을 해왔다. 이에 한국이 뛰어든 초반에는 사우디가 유력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지만, 윤석열 대통령을 필두로 정·재계, 민간이 함께 유치전에 뛰어들면서 지금에는 대등한 상황에 이르렀다는 평가가 나온다.이번에 도전하는 2030 세계엑스포는 올림픽과 월드컵에 이은 3대 메가 이벤트로 불린다. 엑스포는 문명이 가야 할 방향을 선도하는 그 시대의 최첨단 기술과 그에 접합된 문화를 선보이는 문화·경제 올림픽 인셈이다. 현재까지 3대 행사를 모두 치른 나라는 미국과 프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 등 6개 국가다. 한국이 이를 유치한다면 세계 3대 행사를 모두 유치한 7번째 국가로 기록된다.
- 국가발전의 새로운 성장 축 ‘부산’정부가 엑스포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는 건 불러올 경제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특히, 부산에서는 가덕도신공항의 조기개항을 비롯한 기반시설을 대거 확충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엑스포는 주제의 범위와 전시면적, 기간에 따라 등록엑스포와 인정엑스포로 나뉜다.이번에 부산이 도전하는 것은 등록엑스포로, 전시가 열리는 6개월간 엑스포 참가국들이 직접경비를 부담해 엑스포 전시관을 짓게 된다. 이로 인해 61조원의 경제효과와 50만명의 고용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된다.등록엑스포를 통해 성장한 대표적인 글로벌 도시로는 상하이, 두바이, 샌프란시스코, 시카고, 파리, 런던 등이 있다. 철강과 자동차, 비행기, 코카콜라 등도 당시의 엑스포를 통해 배출된 새로운 기술이자 문화로 알려졌다.인정엑스포는 등록엑스포가 열리는 중간기간에 열리는 작은 엑스포로 지난 1993년 대전과 2012년 여수에서 개최한 경험이 있다.정부와 부산엑스포 유치위원회 등은 이번 엑스포를 계기로 부산이 '글로벌 허브도시'로 성장해 국가발전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도약할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냈다.한덕수 총리는 지난 9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부산은 한국 제2의 도시이고, 엑스포를 통해 부산이 두 번째 축으로 성장하면 한국이 더 균형 잡힌 발전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박형준 부산시장도 이 자리에서 “2030엑스포는 부산을 글로벌 허브도시로 만들어 줄 것”이라고 밝혔다.
- 막판 역전극 펼쳐지나…양자대결이 ‘승부수’2030 엑스포 개최지는 오는 11월 28일 세계박람회기구(BIE) 회원국의 표결로 최종 결정된다.28일 정부와 부산 엑스포 유치위 등에 따르면 현재 사우디가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양자구도에서는 초접전에 이은 한국의 승리까지도 노려볼 수 있는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엑스포 후보지가 3곳인 경우, 182개 BIE 회원국 가운데 3분의 2인 122개국의 표를 받지 못하면 3위를 제외한 양자간 2차 표결을 실시해 최종 개최지를 선정하게 된다.사우디가 결선 투표 없이 1차 투표에서 승리할 수 있을지, 2차 투표까지 이어져 한국이 대역전극을 일으킬 지의 여부가 최대 관전포인트가 될 전망이다.이 같은 셈법은 최근 불거진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에서 사우디가 팔레스타인의 지지를 선언함에 따라 유럽국가들의 표심이 한국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판단에서다.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가운데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가 원유 감산에 들어가 유럽의 국가들의 원성을 사기도 했다.이에 정부는 우호적인 국가는 지키고, 더불어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의 표를 확보해 승부를 가린다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