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의 인물과 학문’ 12회 학술발표회 개최이중무·주시범·이태하 등의 사상과 문학세계 재조명
  • ▲ 의령군은 지난 12일 ‘의령의 인물과 학문’ 제12회 학술발표회를 개최했다.ⓒ의령군
    ▲ 의령군은 지난 12일 ‘의령의 인물과 학문’ 제12회 학술발표회를 개최했다.ⓒ의령군
    의령군은 의령 출신 유학자들의 학문과 사상을 재조명하며 지역 학문사의 정통성을 이어가는 뜻깊은 자리를 마련했다.

    의령문화원(원장 강신군)은 12일 ‘의령의 인물과 학문’ 제12회 학술발표회를 개최했다. 

    발표회는 조선시대부터 근대 전환기까지 의령 출신 지식인들의 철학과 문학세계를 탐구하고, 그 정신적 유산을 현대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마련됐다.

    발표회에서는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의 학문을 계승한 의령 유학자들이 ‘조선 유학 르네상스’를 이끌었다는 해석이 제시됐다. 

    또 조선의 대표 유학자들의 학맥과 사상이 의령지역의 풍토 속에서 성장하고 확장됐다는 점에서 의령이 조선 지성사의 중요한 학문적 거점임을 부각했다.

    발표는 김세호 경상국립대 교수의 ‘남계 이중무의 사의식 형성과 소학당 건립’, 박정민 경북대 교수의 ‘한말 지식인 수재 주시범의 나를 지키는 글쓰기’, 전송희 부산대 교수의 ‘남곡 이태하의 남곡유집을 통해 본 격동기의 정황과 시대인식’, 박다원 영남대 교수의 ‘연방집록에 나타난 묵옹과 상암의 교유와 시세계’ 등 4편으로 진행됐다.

    발표에는 의령 출신 유학자들이 격동의 시대 속에서도 학문을 통해 자아를 지키고, 문학으로 세상을 바로잡으려 했던 정신이 조명됐다. 

    특히, 유학의 도덕 실천과 문학적 표현이 하나로 융합된 ‘의령 학문사’의 독창성이 돋보이며, 의령이 단순한 인물의 고장을 넘어 ‘지식인의 고장’으로서의 위상을 지녔다는 점이 강조됐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의령의 유학이 조선 사상사의 주변이 아닌 중심이었다”는 평가가 제시됐다. 

    토론자들은 네 학자가 남긴 문집과 시문을 ‘지방사학의 보고’로 평가하며, 의령의 학문적 유산을 체계적으로 복원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데 뜻을 모았다.

    오태완 의령군수는 “옛 선현들의 학문과 문화적 반석 위에 오늘의 의령이 서 있다”며 “조선시대부터 구한말까지 학문으로 세상을 바로잡으려 했던 유학자들의 정신을 본받아 미래 100년을 향한 문화도시 의령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