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제거선 배치, 총인 배출 저감 강화 등
  • ▲ 낙동강 칠서지점 녹조 모습.ⓒ경남도
    ▲ 낙동강 칠서지점 녹조 모습.ⓒ경남도
    경상남도는 낙동강의 녹조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대응체계에 돌입했다. 장마가 끝나고 폭염이 이어지면서 조류 발생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자 도민들의 먹는 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전방위 대책에 나선 것이다.

    낙동강 칠서·물금·매리 지점의 조류경보 '관심' 단계가 발령 중인 가운데, 경남도는 최근 채수 결과 유해 남조류 세포 수가 '경계' 단계 기준(1만 세포수)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비상대응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20일 경남 도내 합천창녕보·창녕함안보 등 2개 보 구간과 주요 지류에서도 수면에 녹조 띠와 다수의 뭉친 녹조 알갱이가 관찰됐다.

    경남도는 △낙동강 취수구 주변 녹조제거선 집중 배치 △댐·보·하굿둑 연계 운영을 통한 조류 저감 △총인(T-P) 배출 저감 △먹는 물 안전 모니터링 강화 등을 핵심 조치로 시행한다.

    특히 합천창녕보·칠서취수장·창녕함안보·물금·매리 등 주요 지점에 배치된 녹조제거선을 신속히 운영하고, 필요 시 댐과 보의 방류량을 늘려 조류 세포 수를 줄이는 방안을 병행한다. 올해부터는 조류 대응 절차가 6일에서 3일로 단축돼 더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녹조의 주요 원인물질인 총인 배출을 줄이기 위해 도내 공장, 대형 가축분뇨 배출업소, 개인하수처리시설 등 267곳에 대한 특별점검을 매주 1회 이상으로 강화한다.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는 법적 기준보다 최대 80% 강화된 수준으로 운영하고, 관련 비용은 환경부가 지원한다.

    아울러 조류독소와 냄새물질 검사 주기를 법적 기준보다 늘려 매주 1회 이상으로 강화해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현재까지 정수 처리된 수돗물에서 조류독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구승효 경남도 수질관리과장은 "조류경보가 해제될 때까지 도민들에게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며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물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