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매미 이후 최악, 22년 만의 최대 피해액 하천·산사태 항구 복구, 상능마을 집단 이주 추진
  • ▲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가운데)가 19일 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중호우 복구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경남도
    ▲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가운데)가 19일 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중호우 복구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경남도
    경상남도는 지난 7월 서부내륙권을 휩쓴 집중호우 피해액을 5177억 원으로 확정하고, 총 1조1947억 원 규모의 복구계획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공공시설의 방재 기능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고, 주택·농작물·소상공인 지원을 확대해 도민의 생활 회복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지난 7월16~20일 산청·합천 등지를 중심으로 최대 798㎜의 기록적 폭우가 쏟아졌다. 이로 인해 산청군에서만 14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으며, 17개 시·군 7879명이 대피하는 등 대규모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액 5177억 원은 2003년 태풍 '매미' 이후 22년 만에 가장 큰 수치다.

    이번 복구계획에는 국비 9771억 원을 포함 총 1조1947억 원이 투입된다. 경남도는 산청 양천 등 16개 지방하천을 정비하고 제방을 보강하는 데만 4273억 원을 배정했다.

    또 산사태와 사면 붕괴에 대비한 사방댐 설치 등 959억 원 규모의 복구사업을 추진한다. 땅 밀림으로 지반 전체가 무너져 내린 산청 상능마을은 305억 원을 들여 집단 이주를 지원하기로 했다.

    피해 주민에 대한 지원도 크게 늘어난다. 전소 가구에는 기존 정부 지원금 외에 6000만 원을 추가 지급하고, 풍수해보험 가입자에게는 최대 3200만 원을 별도로 준다.

    농작물 지원 단가는 실거래가 수준으로 현실화하고 지원율도 100%로 상향한다.

    가축·수산물 피해 복구비와 농기계 지원율도 확대되며, 소상공인지원금 역시 기존 50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2배로 늘어난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서부경남지역에서 같은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항구적인 복구대책을 차질 없이 진행할 것"이라며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