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에 항의 글 40건 "국민 세금 함부로 쓰지 마라""관광객에 지급 아니라 숙박업계 지원" 해명에도 비판 지속
-
- ▲ 지난 14일부터 17일사이 경남도청 홈페이지에 올라온 항의 글.ⓒ경남도청 홈페이지 캡쳐
경상남도가 무비자로 입국하는 중국 단체관광객에게 숙박비를 지원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여론이 들끓고 있다. 도민들은 "외국인에게 왜 피 같은 세금을 함부로 쓰려 하느냐"며 거세게 반발하는 모양새다.경남도청 홈페이지에는 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관련 항의 글이 40건 가까이 올라왔다. 대부분은 "중국인에게 특혜를 주는 꼴"이라며 사업 중단을 요구하는 내용이었다.논란의 불씨는 경남도가 지난 12일 배포한 보도자료였다. 정부가 9월29일부터 내년 6월까지 중국 단체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한시적으로 허용하자 경남관광재단은 체류형 관광상품 판매를 시작한다고 알렸다.문제는 이 자료에 '관광객 1인당 숙박비 5만 원 지원'이 포함돼 있었다는 점이다.비판 여론이 확산하자 경남도는 "중국인만 지원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진화에 나섰다.경남도는 2009년 제정된 '경남도 관광진흥조례'에 근거해 2010년부터 내·외국인 단체관광객을 유치한 여행사에 숙박 인센티브를 지급해왔다는 의견이다.경남도 관계자는 "관광객에게 직접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여행사를 통해 지역 숙박업계를 지원하는 구조"라며 "서울·부산 등 다른 지자체도 비슷한 제도를 운영한다"고 해명했다.실제로 지난 1~5월 대만(758명)·미국(434명)·일본(91명)·싱가포르(29명) 등 외국인 단체관광객에게 같은 방식으로 지원이 이뤄졌다.그러나 여론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일부 네티즌은 "결국 중국인 관광객에게 가장 큰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며 불신을 드러냈다.앞서 정부는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관광 활성화 미니 정책TF' 회의에서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을 다음 달 말부터 내년 6월30일까지 허용하기로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