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는 사상 노후공업지역을 산업, 주거, 상업, 생태 기능이 어우러지도록 재생하는‘스마트시티'의 밑그림인 재생사업지구 지정(안)이 3월18일(수) 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에서 원안 통과됨에 따라 4월 8일 고시한다고 밝혔다.

    재생사업지구는 사상구 주례, 감전, 학장동 일원 전용공업지역 3,021천㎡이며, 기반시설, 지원시설 및 편의시설 확충·개량을 통해 경쟁력 있는 산업공간으로 재창출할 계획이다.

    재생사업지구 지정(안) 고시에 따라 사상 공업지역은 일반산업단지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가지게 된다.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복합용지 수용, 첨단업종 변경 등으로 용도지역 변경이 용이해 진다. 취·등록세 면제, 지방세, 재산세 등을 감면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업 및 지원시설 확충으로 산업단지 활성화가 기대된다.

  • 재생사업지구는 산업시설용지(57%), 복합시설용지(12%), 공공시설 (31%)로 계획돼 있으나, 앞으로 재생 시행계획에서 민간사업자가 본 사업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토지이용계획수립 제안 시 변경도 가능하다.

  • 특히 시민친화적 녹지공간 조성을 위해 9개소의 소공원(30,388㎡)도 조성하고 사상공업지역을 가로지르는 감전천의 생태하천 복원화(L=2.9㎞)를 통해 시민들의 쉼터 조성과 함께 녹지공간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감전천 주변 일대를 환경친화적인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시민아이디어 공모대회 등을 통해 시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한다.

    또한 낙동강 고수부지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사상공단과 둔치를 연결하는 보행육교를 설치하는 한편 공업지대 주차난 해소를 위해 8개소의 노외주차장(19,024㎡)을 설치할 계획이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북구와 사상 사하구 일대를 낙동강 리버프론트를 만들어 환경과 첨단지식산업 시설이 어우러지는 복합도시로 만든다는 공약을 밝힌 바 있다.

    사상스마트시티 사업이 실현단계에 이르면 이 일대 주민들은 지식산업단지와 문화 쇼핑은 물론 리버프론트까지 즐기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경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시는 기획재정부에서 수행 중에 있는 예비타당성 사업 조사 및 검토가 완료(8월 예정)되면 국비 20억 원과 시비 20억 원을 확보해 재생 시행계획용역을 실시하고,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기반시설 확충을 완료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