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정착 위한 공간정책 총점검
-
- ▲ 26일 장유꿈터플러스센터에서 김해 도시공간정책포럼이 열렸다.ⓒ김해시
김해연구원이 '청년이 떠나는 도시'를 막기 위한 해법 찾기에 나섰다.김해연구원은 26일 장유꿈터플러스센터에서 '청년이 머무는 도시를 위한 김해시 공간정책 방향'을 주제로 '김해 도시공간정책포럼'을 열고, 청년정책과 도시공간정책을 어떻게 연계할지 머리를 맞댔다.이번 포럼은 '일자리만으로 청년이 남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김해연구원과 경남대 로컬크리에이터학과가 공동 개최했으며 학계·현장 전문가·청년활동가들이 참석해 '김해형 청년공간정책 모델'을 도출하기 위한 논의를 이어갔다.주제발표에서는 이상협 인제대 교수가 '청년이 머무는 도시'를 통해 청년 세대의 도시 선택 요인과 공간환경의 중요성을 제시했으며, 김석호 경남대학교 교수는 '청년 로컬크리에이터와 지역변화' 발표를 통해 지역 기반 청년창업과 문화활동이 도시 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다.이어 김보경 삼천포블루스 대표는 '청년이 변화시킨 지역 사례'를 통해 청년의 활동이 지역 공간을 변화시킨 실제 사례를 소개했고, 김정인 김해청년어울림센터 센터장은 '청년공간 운영사례와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발표를 통해 청년공간의 운영 경험과 지속가능한 모델을 제시했다. 이들의 발표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청년정책과 공간정책의 접점을 조명하며, 김해형 청년공간정책 모델 구성을 위한 핵심 요소를 제공했다.종합토론에서는 김석호 교수가 좌장을 맡아 △청년의 지역 정착을 위한 공간환경 조성 △청년이 활용할 수 있는 지역 자원과 기반시설 확보 △청년공간의 지속가능한 운영 전략 △도시정책과 청년정책의 통합적 접근 필요성 등을 놓고 논의가 오갔다.김해연구원은 이번 포럼을 통해 청년친화적 공간정책의 방향을 구체화하고, 청년정책과 도시정책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고 평가했다.김재원 김해연구원장은 "청년이 실제로 활동하고 성장할 수 있는 도시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공간정책과 청년정책의 유기적 연계가 필요하다"면서 "이번 포럼에서 도출된 논의를 토대로 김해형 청년친화도시 실현을 위한 정책연구를 한층 구체화하고 심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