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혼탑 참배 연계 도민참여형 행사 진행, 국가유공자 유가족 등 1000여 명 참석희생정신 기리고, 전쟁 참혹함 잊지 않도록… 학생 편지 낭독, 추모 참여
  • ▲ 제69회 현충일 추념식. ⓒ경남도 제공
    ▲ 제69회 현충일 추념식.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제69회 현충일을 맞아 지난 6일 창원 충혼탑에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는 추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추념식에는 박완수 경상남도지사와 박종훈 경상남도교육감, 허성무(창원 성산)·김종양 국회의원(창원 의창), 보훈단체 대표, 독립유공자와 참전유공자 등 도민 1000여 명이 참석했다. 

    추념식은 오전 10시 전국적으로 동시에 울리는 사이렌에 맞춰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추모 묵념을 시작으로 국민의례, 헌화 및 분향, 추념사, 추모곡 연주, 헌시 낭독, 감사 편지 낭독, '현충의 노래'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추념식에서는 6·25 전쟁 전사자인 이종태 일병의 며느리(子婦)이자 창원낭송문학회장인 김효경 씨가 추모 헌시 ‘넋은 별이 되고’를 낭독하고, 창원시립교향악단 배성아 첼로 연주자가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넋을 기리기 위해 라흐마니노프의 ‘보칼리제’를 연주했다.

    특히, 이번 추념식에는 전후세대인 젊은 세대들이 전쟁의 참혹함을 잊지 않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창원고등학교 주니어 학군단 30명이 박 경상교육감과 함께 헌화, 분향, 묵념했다. 

    박 지사는 추념사에서 “오늘날 330만 경남도민의 일상적인 삶은 여기 잠들어 계신 호국영령 한 분 한 분의 희생과 헌신 덕분이다. 현충일 오늘 하루 만큼은 이들 모두를 영웅으로 예우하고 아픈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를 다짐하는 시간이 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박 지사는 “날로 늘어가는 세대갈등, 사회갈등 앞에서 보훈에 대한 전후세대의 공감이 무엇보다 중요다”며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선양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