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기능 강화, 북극항로 개척, 해사법원 설립 등 요구
  • ▲ 18일 부산상의 회의홀에서 열린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초청 상공인 간담회.ⓒ부산상공회의소
    ▲ 18일 부산상의 회의홀에서 열린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초청 상공인 간담회.ⓒ부산상공회의소
    부산상공회의소는 18일 부산상의에서 전재수 해양수산부장관 초청 상공인 간담회를 열고 해양수도 부산 도약을 위한 핵심 현안과 지역기업의 애로사항을 건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전 장관 취임 후 부산 상공계와 첫 공식 만남으로, 김혜정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 이현 해수부 정책보좌관, 부산상의 회장단과 의원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부산상의는 먼저 △해수부 기능 강화 △북극항로 개척 △해사전문법원 설립 △HMM 본사 부산 이전 등 '해양수도 부산'을 위한 4대 현안을 집중적으로 전달했다.

    특히 HMM의 경우 정부 지분이 70% 이상인 만큼 부산 이전이 마땅하다고 강조했으며, 최근 대기업들의 인수 검토 보도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매각 조건에 '부산 이전'을 명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기업 애로사항도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부산의 공시지가가 지난 10년간 전국 평균보다 훨씬 가파르게 올라 중소·중견 수리조선사의 부담이 커졌다며, 공유수면 점용·사용료 감면을 법률로 제도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 부산항 입항 선박의 체선율과 물류비 절감을 위해 수리 허가를 24시간제로 확대하고, 국제 여객터미널 면세점 임대료 50% 감면 조치를 2027년 7월까지 연장해 달라는 요구도 나왔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은 "부산경제는 오랫동안 머물렀던 침체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글로벌 해양수도라는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면서  "해수부 이전을 마중물 삼아 북극항로 전초기지 구축, HMM 본사 이전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하여 부산이 동북아를 호령하는 진정한 해양수도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양수산부가 적극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전 장관은 "올해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을 완료하면 내년은 해양수도 원년을 맞이하게 된다"면서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해 주요 정책 과제들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더 많은 실적과 성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