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공사 요구에 정치권 반발… 진상조사, 책임자 사퇴 촉구
  • ▲ 가덕도신공항 조감도.ⓒ부산시
    ▲ 가덕도신공항 조감도.ⓒ부산시
    부산 가덕도신공항의 2029년 12월 개항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부지 조성 공사 수의계약 대상자인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기존보다 2년 연장된 108개월(9년) 공사 기간을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28일 국토교통부에 기본설계안을 제출하면서 84개월(7년)로 설정된 공기를 108개월로 늘려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가 수차례 강조해온 '2029년 말 개항' 목표가 사실상 무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한 관계자는 "국토부가 제시한 공사 기간과 예산(10조5000억 원)으로는 사업을 수행하기 어렵다"며 공기 연장과 1조 원 이상의 추가 예산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건설·대우건설·포스코이앤씨 등으로 구성된 이 컨소시엄은 입찰 과정에서도 단독으로 응찰해 사실상 계약을 따냈다.

    국토부는 기본설계안을 검토한 뒤 공식 의견을 내놓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내부적으로는 "공사 기간 조정은 계약 조건 위반 소지가 있어 수의계약 자체를 중단할 수 있다"고 밝히는 등 강경한 기류도 감지된다. 

    하지만 이미 사업자를 선정한 상황에서 대체할 대안이 마땅치 않아 현실적으로는 난항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부산시는 공식 계약 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에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시 관계자는 "정확한 기본설계안이 제출돼야 대응 방침을 세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를 두고 정치권의 비판도 거세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은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108개월 건설 계획은 엉터리 용역 결과"라며 "국토부와 부산시가 중간 타협(96개월)을 노리고 짜고 치는 고스톱판을 벌이고 있는 것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민주당 부산시당은 이어 "박형준 부산시장은 2029년 개항이 가능하다고 시민을 속였다"며 "진상조사단을 꾸리고 박 시장과 박상우 국토부장관의 사퇴 운동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가덕신공항 건설사업은 정부가 지역균형발전의 핵심 과제로 추진해온 대형 국책사업이다. 그러나 수차례 유찰과 사업 지연, 이번 공사 기간 논란까지 겹치면서 일정 차질과 신뢰성 훼손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국토부와 현대건설 컨소시엄 모두 이번 사태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가덕신공항 개항이 또 다시 공약으로 끝나지 않으려면 국토부와 시공사 모두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