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원가 급등으로 응급실 매출 증가해도 적자 여전
  • ▲ 2021~2024 월별 응급실 환자 추이.ⓒ동남권원자력의학원
    ▲ 2021~2024 월별 응급실 환자 추이.ⓒ동남권원자력의학원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이 2016년 지역응급의료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응급실 인력과 기능을 지속적으로 보강한 결과 응급진료 환자가 증가하고 중증 환자 비율이 12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응급실에는 현재 의사 4명과 간호사 14명이 근무 중이며, 보건직과 행정직 수십 명이 지원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의사 1명은 추가로 채용 공고를 낸 상황이지만,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진료과 과장들이 돌아가며 당직근무를 하고 있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응급실 진료 환자를 월별로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약 6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6개월 동안 KTAS 중증도 기준 레벨1부터 레벨3까지의 중증 환자 비율이 40%에서 60%대로 상승했으며, 지난 4월에는 중증 환자 비율이 약 64%에 이르렀다.

    기장 관내 이송 비율이 높아지면서 이송 시간과 이송 거리도 단축되었다. 심폐정지 환자의 관내 의료기관 이송 비율은 시·군·구 평균인 58.6%를 넘어 79.4%에 이르렀으며, 중증 응급환자의 병원 도착 소요시간은 13분으로 시·군·구 평균보다 약 35분 단축됐다. 

    이송 거리는 10.5km로 34km 줄어들었지만 심뇌혈관 응급 의심환자의 이송 비율과 소요 시간, 이송 거리는 여전히 타 시·군·구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의학원에 심뇌혈관센터가 구축되면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늘어나는데도 수익성은 오히려 떨어지고 있다. 진료 수입이 증가하는 만큼 의료원가도 계속 증가하기 때문인데, 주요 원인은 인건비 상승이다. 

    공공의료의 특성상 응급실 의사 인건비가 타 병원보다 낮은 수준임에도 의사·간호사·보건직·행정직 등 수십 명이 24시간 근무하는 체계로 인해 인건비 비중이 높다. 전국적으로 응급실과 같은 필수진료에 근무하고자 하는 의사 구인이 어려워 상황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의학원 응급실은 적자 보전을 위해 정부로부터 응급의료 취약 지원금을 받았으나, 2019년부터 취약지에서 제외돼 보조금이 끊겼다. 이후 부산시와 기장군이 지역민의 응급의료 지원을 위해 시비와 군비를 지원하며 적자의 일부를 보전하고 있다. 특히 기장군은 전체 예산의 90%를 지원하며 의학원을 포함한 기장군의 응급실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창훈 동남권원자력의학원장은 "경제성과 수익성 면에서 보면 응급실 기능을 유지할 수 없지만, 국민의 건강권과 생명권을 지키기 위해 의료는 보편적 복지로서의 기능을 사수해야 한다고 믿는다"며 "굳이 대형병원이 있는 도심으로 이사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기장군을 만들기 위해 공공의료로서 방법을 찾고 사명을 다하고자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