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과제에까지 올랐지만 TF조차 없는 양산시2040 계획만 반복, 원론적 답변에 비판 고조
  • ▲ 양산시청 전경.ⓒ양산시
    ▲ 양산시청 전경.ⓒ양산시
    양산시가 국제 물류 거점으로 도약할 절호의 기회를 놓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정부가 대통령 공약이자 국정과제로 양산 내륙컨테이너기지(ICD) 내 유엔국제물류센터(UNHRD) 유치를 공식화했지만, 정작 양산시는 전담 TF조차 구성하지 않은 채 사실상 '뒷짐'을 지고 있다는 것이다.

    9일 뉴데일리 취재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지난달 '국정운영 5개년계획'을 발표하며 경남 7대 공약에 양산 ICD 내 UNHRD 유치 지원을 포함했다.

    UNHRD는 국제적 재난 발생 시 신속한 구호활동을 지원하는 핵심 거점으로, 현재 이탈리아 등 5곳에 설치돼 있으나 동북아에는 아직 지역 허브가 없는 상태다.

    정부는 양산 ICD 부지를 가덕도신공항·북극항로와 연계해 동북아 물류 허브로 키우겠다는 복안을 세웠다.

    그러나 양산시는 정작 주도권을 쥐어야 할 시점에 손을 놓고 있다. 지난 5일 양산시의회 본회의에서 관련 질의가 나왔지만, 나동연 양산시장은 "아직 해양수산부 로드맵이 없다"는 답변만 내놨다.

    이에 강태영 양산시의회의원은 "해수부가 '양산시로부터 어떠한 제안도 받은 적이 없다'고 했다"며 양산시의 소극적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최선호 양산시의회 부의장 역시 "양산 ICD는 단순 물류창고가 아니라 도시의 새로운 심장이 될 수 있다"며 TF 구성과 주도적 협력을 촉구했다.

    정부는 이미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 간 협약 추진, 기획재정부와 임대 기간 산정 논의까지 진척시키고 있다.

    반면 양산시는 "2040 도시기본계획에 복합물류단지 구상을 담았다"며 원론적 답변만 내놨다.

    사실상 정부가 문을 열고 기다리는 상황에서 양산시가 스스로 기회를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국제통상학 교수는 "UNHRD는 단순한 시설 유치가 아니라 양산을 국제 물류·지식 교류의 중심지로 도약시킬 수 있는 전략 사업"이라며 "지금처럼 손 놓고 있다가는 국정과제를 눈앞에 두고도 다른 지역에 빼앗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