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지표 설계, 정책 환류전략 교육
  • ▲ 공공관리연구원이 지난 27일 민간위탁 실무자를 대상으로 민간위탁 성과평가 관리방안 교육을 실시했다.ⓒ공공관리연구원
    ▲ 공공관리연구원이 지난 27일 민간위탁 실무자를 대상으로 민간위탁 성과평가 관리방안 교육을 실시했다.ⓒ공공관리연구원
    공공관리연구원은 민간위탁제도의 성과 관리 고도화를 위해 실무 중심 교육을 진행했다.

    공공관리연구원은 지난 27일 전국 공무원과 민간위탁 실무자를 대상으로 '2025-3차 민간위탁 성과 평가 관리 방안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위탁사무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성과 관리체계 구축과 평가 실무 능력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교육은 △민간위탁의 이해 △민간위탁 효율적 관리 △민간위탁 성과 평가 방안 △민간위탁의 투명한 관리 등으로 구성됐으며, 위탁 기관들이 겪는 실무적 고민과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특히 성과 평가지표 설계와 관련해 △정량지표와 정성지표의 구분 △성과 관리 기준 수립 방법 △기관별 맞춤형 지표 도출 방식 △운영계획 연계성 확보 방안 등 설계 원칙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교육에서는 '사업 목표와 지표의 정합성' '지표의 명확성과 측정 가능성'을 핵심 평가 기준으로 제시했다.

    홍원기 공공관리연구원 연구팀장은 "단순한 점수 중심 평가를 넘어 정책 개선으로 환류되는 성과 관리 전략이 중요하다"면서 "성과보고서 연계와 내부 피드백 체계 마련을 통해 지속 가능한 위탁사업 운영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