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발전연구원은 , 경제·고용, 사회·문화, 도시기반, 해양·환경 등 4개 분야로 나눠 새해 부산에 예상되는 이슈를 정리한 정책정보지 ‘부산발전포럼 1,2월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첫째, 경제·고용분야에서는 민선6기 부산시정의 최대 화두는 일자리 창출로 보고, 일자리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하고 14개 사업 추진계획을 제시했다.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업으로 ICT융합 메카트로닉스 클러스터 육성, 에너지산업 클러스터 육성, 수산·식품·바이오 클러스터 육성 등이 추진될 전망이다. 이어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건물이 준공되고 공공기관 이전이 완료되면서 부산 금융중심지를 위한 기본적 하드웨어는 갖춰졌으며, 금융중심지 성공 여부는 지금부터의 노력에 달려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대표적 서민 일자리인 중소소매업의 쇠락은 서민경제기반 붕괴로 이어지기 때문에 새해에는 소매업 중흥을 위한 과감한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부평깡통시장 야시장 확대 운영, 영도대교 관광자원화 등 원도심을 활용한 관광객 유치는 부산 관광 MICE산업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사회·문화분야에서는 민선6기 부산시정이 시민중심·현장우선·책임시정·성과창출이라는 4대 원칙을 근간으로 조직개편을 가속화한다. 이를 바탕으로 일자리 창출, 시민안전과 건강 제고, 시민소통 등을 추진해 나가며 공직사회가 일하는 방식에서 뿌리깊은 업무관행을 점검해 경쟁력있게 변화해 나가야한다고 분석했다.

    포럼에서는 지역문화진흥법에 기초한 자치구의 문화재단설립이 가속화될 것 이라고 분석했다. 자치구 문화재단설립은 지역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수요자 중심의 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지방교육발전 문제와 관련해 부산시와 부산시 교육청은 미래지향적으로 협력체계를 구축해 공동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보았다. 

    셋째, 도시기반분야에서는 도시관리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될 것으로 보았다. 부산의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어 인구정책이 도시관리정책 중 우선적 대응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부산은 지형적 특성으로 가용토지 부족이 우려되기에 도시계획을 비롯한 큰 틀의 도시정책 재설정도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이 안정화에 들어가고 도시재생사업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다. 도시 균형발전 차원에서 서부산 글로벌시티 플랜도 부각될 것이다. 공공 서비스디자인은 소프트파워도시의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넷째, 해양·환경분야에서는 북항 처리 물동량의 신항 이전이 가속화되면서 북항과 신항의 전략적 기능 분리와 각 특성에 맞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분석했다. 물동량의 신항 이전에 따른 북항 기능 위축은 원도심 공동화로 이어질 수 있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양경제특별구역 제도 도입이 계속 추진될 것 같다고 보았다. 부산의 전통해양산업과 해양환경, 해양에너지, 해양안전, 해양관광 등 다양한 해양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해 ‘부산 글로벌 해양도시 구현의 원년’을 삼자는 목소리도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부산발전포럼 1,2월호’는 시민들이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자료는 부산발전연구원 홈페이지(http://www.bdi.re.kr/→BDI발간물→정기간행물→부산발전포럼)를 통해 항상 열람 또는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