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지사 “의대 정원 확대, 지역의료 불균형 해소 위한 중요한 전환점 될 것”창원시“환영한다. 창원지역 모집 의과대학 추진할 것”경상국립대 "경남도와 취약 의료지구 해소 노력하겠다"
  • ▲ 박완수 경남도지사. ⓒ
    ▲ 박완수 경남도지사. ⓒ
    정부가 지역의 부족한 의료인력 확충과 필수의료 공백 개선을 위해 의대 정원을 증원 배정하자, 경남도를 비롯한 지역에서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의 입학정원이 현재 76명에서 200명으로 최종 확정됐다.

    박완수 경상남도지사는 “경남도는 330만 도민과 함께 진심으로 환영하며, 도가 직면한 지역의료와 필수의료의 위기를 타개하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지난달 6일 의대 정원을 2000명 증원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20일 대학별 배정 규모를 최종 확정, 발표했다.

    박 지사는 이날 “앞으로도 경상국립대와 함께 증원된 학생들이 양질의 교육과 수련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교육역량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박 지사는 “아울러 지역에서 양성된 유능한 의사인력이 도내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역인재전형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남도는 그동안 지역의료 불균형 해소를 위해 ‘의사인력 확충’을 도정과제로 정하고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

    2022년 11월부터 ‘의료분야 대학 설치 분과’를 구성해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정부와 국회에 30여 회 방문해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공론화를 위한 국회 토론회도 2회 개최했다.

    경남도의회와 창원시의회 등에서도 건의문을 채택(4회)하고, 창원상공회의소·경남경영자총협회 등 여러 시민단체에서도 의대 정원 확대에 힘을 보태기도 했다.

    특히 박 지사는 대통령과 보건복지부장관 등을 직접 만나 경남의 의사인력 부족 현실을 설명하고, 지역의료 수요를 고려한 경상국립대 의과대학 정원 증원을 마지막까지 강력히 요청하는 등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경남도는 지역의료 불균형 해소를 위한 의료개혁의 시작이라고 보고 비상의료체계 가동과 동시에 도내 의료계와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 ▲ 박완수 경남도지사. ⓒ
    ◇ 창원시

    홍남표 창원시장도 이날 “정부의 2025학년도 의대 정원 대학별 배정 결과 발표에 지역의료 불균형 해소를 위한 의료개혁의 첫걸음을 내디뎠다며 적극적으로 환영한다”고 밝혔다.

    창원시는 지역 간 의료 격차와 의료서비스 불균형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필요한 의사를 선발, 교육, 배치하는 일련의 절차가 지역 내에서 완결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원칙을 꾸준히 주장해왔다.

    창원시는 이번 정부 발표에 의대 신설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지난 14일 전남도청에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전남지역 의대 신설 건의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긍정적 답변에 주목하며 창원지역 의대 신설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홍 시장은 “지역의료 불균형 해소를 위한 의료개혁의 시작을 더없이 환영한다”며 “앞으로도 계속하여 창원지역에 모집 단위를 둔 의과대학 신설을 목표로 정부의 의료개혁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고 말했다. 
  • ▲ 권순기 경상국립대학교 총장. ⓒ경상국립대 제공
    ▲ 권순기 경상국립대학교 총장. ⓒ경상국립대 제공
    ◇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도 이날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발표 후 성명을 통해 “정원이 200명으로 확정된 이유는 경남의 인구당 의사 배출 수와 인구당 의료종사자수가 전국평균보다 적고 18개 시·군 중 14개 지역이 의료취약지역인 점이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한다”며 “향후 의과대학의 의견을 반영하여 경남도와 함께 경남도 내 지역의료 취약지구 해소와 필수의료인력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증원된 의과대학 학생에게 양질의 의학교육을 시킬 수 있는 교육 여건 개선에 정부·지자체·대학이 함께 노력하겠다”며 “교육 여건의 개선은 의과대학 교수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한 만큼 향후 의과대학장과 교수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경청해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