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환경부·수자원공사·두산중공업 업무협력협약… 650억 추가 예산 '세금낭비' 지적도
  • 주민 반대로 수돗물 공급이 무산돼 운영이 중단됐던 부산 기장군 해수담수화시설 가동에 청신호가 켜졌다. 다만 생산 담수 전체를 식수 해결을 위한 수돗물이 아닌 ‘맞춤형 산업용수’로 공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650억원의 추가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 탓에 '세금 낭비'라는 지적도 나온다.

    10일 부산시와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두산중공업은 서울스퀘어에서 ‘기장 해수담수화시설의 가동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력 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생산 담수를 산업용수로 활용 및 공급량 확대를 위한 수요처 발굴 △기술 개발을 통한 유지·관리 비용 절감 △성공적 가동과 운영을 위해 해수담수화 클러스터 조성 기반 마련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또 별도의 세부 협약도 체결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기장 해수담수화시설에서 생산한 하루 4만5000톤의 물 가운데 1만톤을 고리원자력발전소에, 나머지는 울산 온산공단을 비롯해 원전 주변 지역 산업시설에 공업용수로 공급하는 방안을 본격 추진한다. 부산 권역 밖으로 연결되는 광역상수도망 건설 비용은 수자원공사가 부담하고, 두산중공업은 전기요금 등 생산 단가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 등에 나서기로 했다.

    시는 이와 별도로 해당 시설 운영비의 50%가량을 차지하는 전기요금을 감면받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산업부도 시의 요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역 일각에선 식수 부족을 위해 만든 해수담수화시설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고, 수백억원의 예산을 들여 물 부족을 겪고 있지 않은 공단지역에 공급하는 것은 '세금 낭비'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울산 온산공단, 고리원전 등에 공급하기 위해선 40㎞ 이상 관로(管路)를 새로 깔아야 하는데 650억원의 추가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

    한편 부산 기장군에 설치된 해수담수화시설은 역(逆)삼투압 기술을 이용해 바닷물의 염분과 불순물을 걸러내는 시설로, 단일 설비로는 세계 최대이다. 이 사업은 노무현 대통령 시절인 2006년 기획됐고, 착공은 이명박 대통령, 완공은 박근혜 대통령 시절인 2015년이다. 당초 해수담수를 생산해 기장군 등에 수돗물로 공급하고자 했지만, 인근 고리원자력발전소 방사성 물질 유출을 우려한 주민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가동이 중단돼 왔다.

    아래는 부산경남지역 주요일간지 기사내용이다.

    <부산일보>
    -가덕도신공항 건설되면 10년 내 39개국 ‘신항로’ 열린다
    -110년 만에 바닥 드러낸 성지곡수원지… “어, 잉어가 없네”
    -자금난 금호그룹, 에어부산 매각하나
    -‘대학 내 첨단 산단 구축’ 입법 추진…부경대 용당 캠퍼스 주목

    <국제신문>
    -이미선 헌법재판관 후보 "남편이 해서 몰라"
    -인기 유튜버·연예인·프로선수 등 176명 세무조사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로 글로벌 도시 도약”
    -롯데 한솥밥 먹던 린드블럼에게 일격 당해 1-3 패

    <경남신문>
    -'방산 메카' 창원시, 첨단함정연구센터 설립 추진
    -“대우조선 매각 반대” 노동자 4000명 거제서 외쳤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늘어나는 ‘비보호 좌회전’ 교차로…높아지는 사고 위험
    -라돈 권고기준치 강화 땐 기준치 초과 주택 2배 는다

    <경남도민신문>
    -한국국제대 투쟁위 비리재단 퇴진 공식 요구
    -창녕 대야 재해개선지구 정비 재개 목소리 고조
    -하동 문영빈 선생 독립운동사 재조명
    -재일동포 김소부 회장 ‘눈은 세계로, 마음은 고국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