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일 오후 3시경 부산 금정구 부산대 본부건물 4층에서 이 대학 국문과 고모(54) 교수가 1층 현관으로 투신했다. ⓒ뉴데일리
    ▲ 17일 오후 3시경 부산 금정구 부산대 본부건물 4층에서 이 대학 국문과 고모(54) 교수가 1층 현관으로 투신했다. ⓒ뉴데일리


    부산대 현직 교수가 총장 직선제 폐지에 반발해 대학 건물에서 투신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17일 오후 3시경 부산 금정구 부산대 본부건물 4층에서 이 대학 국문과 고모(54) 교수가 1층 현관으로 투신했다. 고씨는 곧바로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30여분 만에 결국 숨졌다.

    고씨는 현장에서 "총장은 약속을 이행하라"고 외치며 투신한 것으로 목격자들은 전했다.

    또 투신 현장에서는 총장 직선제 이행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긴 A4 용지 2장 분량의 유서가 발견됐으며, 유서에는 "진정한 민주주의를 위해서 희생이 필요하다면 감당하겠다"는 내용 등이 적혀있었다.

    경찰은 대학 관계자와 목격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투신 경위를 조사 중이다.

    한편 부산대는 최근 총장 직선제를 폐지하고 간선제로 차기 총장을 선출하기로 결정했고, 이에 반발한 부산대 교수회는 대학본부 앞에서 단식농성을 전개하는 등 대학 구성원들 간에 극심한 갈등을 빚어 왔다.

        
                                      부산대학교 투신 교수 유서 전문

     진정한 민주주의를 위해서 희생이 필요하다면 감당하겠다.

    드디어 직선제로 선출된 부산대학교 총장이 처음의 약속을 여러 번 번복하더니 최종적으로 총장직선제 포기를 선언하고 교육부 방침대로 일종의 총장간선제 수순밟기에 들어갔다. 부산대학교는 현대사에서 민족주의 수호의 최후 보루 중 하나였는데 참담한 심정일 뿐이다.

    문제는 현 상황에서 교육부의 방침대로 일종의 간선제로 총장 후보를 선출해서 올려도 시국선언 전력 등을 문제 삼아 여러 국,공립대에서 올린 총장 후보를 총장으로 임용하지 않아 대학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일이 다반사란 점이다.

    교육부의 방침대로 총장 후보를 선출해도 마음에 들지 않으면 그 후보를 임용하지 않는 상황이라면 대학의 자율성은 전혀 없고 대학에서 총장 후보를 선출하는 과정에서부터 오직 교육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는 점이 문제이다. 이는 민주주의 심각한 훼손이 아닐 수 없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상황에 대한 인식이 대학과 사회 전반적으로 너무 무뎌있다는 점이다. 국정원 사건부터 무뎌있는 게 우리의 현실 아닌가. 교묘하게 민주주의는 억압되어 있는데 무뎌져 있는 것이다. 진정한 민주주의가 필요하다.

    상황이 이렇다면, 대학에서의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서는 오직 총장직선제밖에 다른 방법이 없다는 말이 된다. 
    민족주의 수호의 최후 보루 중 하나이며 국, 공립대를 대표하는 위상을 가진 부산대학교가 이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그래야 지금이라도 이런 참담한 상황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현대사를 봐도 부산대학교는 그런 역할의 중심에 서 있었다.

    총장직선제 수호를 위해서 여러 교수들이 농성 등 많은 수고로움을 감당하고 교수총투표를 통해 총장직선제에 대한 뜻이 여러 차례, 갈수록 분명히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일종의 총장간선제 수순 밟기에 들어가는 것은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이 너무 무뎌있다는 방중이다. 대학 내 절대권력을 가진 총장은 일종의 독재를 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교수회장이 무기한 단식농성에 들어갔고, 오늘 12일째이다. 그런데도 휴가를 떠났다 돌아온 총장은 아무 반응이 없다. 기가 찰 노릇이다.

    그렇다면 이제 방법은 충격요법밖에 없다. 메일을 통해 전체 교수들에 그 뜻을 전하는 것은 내부적으로 교수끼리 보는 방법으로 이미 전체교수 투표를 통해 확인한 바 있는 상황에서 별 소용이 없다. 늘 그랬다. 사회 민주화를 위해 시국선언 등을 해도 별 소용이 없다. 나도 그동안 이를 위해 시국선언에 여러 번 참여한 적이 있지만, 개선된 것을 보고 듣지 못했다.

    그것보다는 8,90년대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방식으로 유인물을 뿌리는 게 보다 오히려 새롭게 관심을 끌 것이다. 지금의 상황은 진정한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희생을 마다하지 않은 지난 날 민주화 투쟁의 방식이 충격요법으로 더 효과적일지도 모른다. 그 희생이 필요하다면 감당하겠다. 근래 자기 관리를 제대로 못한 내 자신 부끄러운 존재이지만, 그래도 그 희생이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하고, 그 몫을 감당하겠다.

    대학의 민주화는 진정한 민주주의 수호의 최후의 보루이다. 그래서 중요하고 그 역할을 부산대학교가 담당해야 하며, 희생이 필요하다면 그걸 감당할 사람이 해야 한다. 그래야 무뎌져 있는 민주주의에 대한 의식이 각성이 되고 진정한 대학의 민주화 나아가 사회의 민주화가 굳걷해 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