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WSJ “트럼프의 거친 표현 앞세워 동맹국 돌며 대북 단교 설득”
  •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지난 8일(현지시간) 美정부의 대북압박 외교가 서서히 결실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독일 주재 北대사관이 불법으로 개조한 숙박업소. ⓒ美월스트리트 저널 관련보도 화면캡쳐.
    ▲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지난 8일(현지시간) 美정부의 대북압박 외교가 서서히 결실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독일 주재 北대사관이 불법으로 개조한 숙박업소. ⓒ美월스트리트 저널 관련보도 화면캡쳐.


    美정부 관계자가 세계 각국을 돌며 “북한과의 외교·경제 관계를 단절하거나 축소하라”고 촉구했던 활동이 점차 결실을 맺고 있다고 美‘월스트리트 저널’이 지난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美국무부의 ‘대북전략에 따른 외교활동’의 결과 현재 20여개 나라가 북한과의 외교·경제 관계를 단절하거나 격하·축소했다고 보도했다.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美정부 관계자들의 요청에 따라 북한 선박 등록, 항공편 취항 취소, 대사 추방 등을 시행한 국가들이 증가했다”면서 “아세안 국가들의 경우 美외교관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올해 들어서는 북한과의 양자 대화조차 갖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멕시코, 페루, 스페인, 쿠웨이트, 이탈리아가 북한 대사를 추방한 일과 쿠웨이트, 카타르가 현지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들의 감축을 약속한 사실, 미얀마가 북한과의 군사 협력과 무기 거래를 끊은 일 등을 美국무부의 외교적 성과라고 설명했다.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美정부는 지금까지 세계 각지의 동맹국을 찾아 양자 회담을 갖고 북한과의 관계 단절 또는 축소를 특별히 요청해 왔다”면서 “대북 압박외교는 틸러슨 美국무장관에게는 이정표적인 정책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유엔의 대북제재가 아직 더 엄격해지지 않자 트럼프 정부는 국내 보다는 해외에서 보다 엄격한 대북제재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트럼프 정부는 북한 김정은과 치열한 말싸움을 하는 한편 외교적 노력은 실패했다고 주장하면서 군사행동을 할 수 있다는 위협을 하고 있다”며 최근 트럼프 美대통령이 트위터에 “미안하지만 이제 남은 것은 하나의 방법뿐”이라는 글을 올린 것과 미군 수뇌부를 백악관으로 초청해 “폭풍 전야의 고요함과 같다”고 말한 것을 그 사례로 삼았다.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트럼프 美대통령이 계속 내놓는, 대북 군사공격을 암시하는 메시지와 함께 이에 반발하는 美의원들의 주장을 소개한 뒤 트럼프 美대통령의 메시지와 美국무부의 외교적 노력이 하나의 맥락으로 이어지는 ‘역할분담’에 가깝다고 풀이했다.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정부의 대북 외교전략은 성공적인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하면서도 “그러나 이런 노력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회의론도 존재한다”며 밥 코커 美상원 외교위원장(공화, 테네시)의 주장도 곁들였다.

    밥 코커 美상원 외교위원장은 “북한 김정은에게 핵무기와 탄도미사일은 체제와 생존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큰 희생을 치른다 해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고를 정보기관들로부터 들었다”면서 “틸러슨 美국무장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에게 아무리 강력한 압박을 한다고 해도 큰 효과가 없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美‘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브라이언 샤츠 美상원의원(민주, 하와이) 또한 밥 코커 의원과 같이 트럼프 정부의 대북전략에 회의적인 의견을 내놨다고 한다.

  • 렉스 틸러슨 美국무장관, 도널드 트럼프 美대통령, 제임스 매티스 美국방장관. 美WSJ는 대북압박전략이 이들 간의 역할분담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고 해석했다. ⓒ美AP통신 유튜브 영상 캡쳐.
    ▲ 렉스 틸러슨 美국무장관, 도널드 트럼프 美대통령, 제임스 매티스 美국방장관. 美WSJ는 대북압박전략이 이들 간의 역할분담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고 해석했다. ⓒ美AP통신 유튜브 영상 캡쳐.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트럼프 美대통령이 마치 당장이라도 북한과 전쟁을 할 것처럼 긴장감을 고조시키면, 렉스 틸러슨 美국무장관이 해외로 가서 “우리 대통령이 저렇게 흥분했으니까 전쟁을 막으려면 북한과의 외교·경제적 관계를 단절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설득하고 있다는 뜻이었다.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이런 사례로 지난 5월 독일 주재 北대사관이 숙박업소를 운영하며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사실을 美정부가 밝힌 뒤 독일 정부가 이를 불법으로 규정해 폐쇄한 일, 美정부가 “북한 선박 12척이 피지로 국적을 위장해 운항 중”이라고 밝힌 뒤 피지 정부가 북한 선박의 선적 등록을 취소한 일 등을 들었다.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그러나 많은 美정부 관계자들은 트럼프 정부의 노력이 실패로 돌아간다 하더라도 이를 지지하고 있다”면서 “대북압박 외교가 (북한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최고의 방안이라고 믿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美‘월스트리트 저널’은 “美외교가에 따르면, 대북압박을 위해 한국과는 매주, 일본과는 매달 협의를 갖고, 공동 대북전략을 조율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면서, 트럼프 정부의 대북압박 외교가 앞으로도 상당한 성과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美‘월스트리트 저널’이 트럼프 정부의 대북압박 외교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은 기존의 美주류 언론들의 논조와는 거리가 있다.

    특히 ‘反트럼프’ 성향을 강하게 내비치는 ‘뉴욕타임스’나 CNN의 경우에는 트럼프 美대통령의 거친 말과 틸러슨 美국무장관의 외교적 노력을 “트럼프 정권 내의 불협화음”이라거나 “이제 조만간 틸러슨이 잘리게 될 것”이라는 해석을 곁들이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트럼프 美대통령은 ‘反트럼프 언론’의 예측이 나오면, 이와는 다르게 자기 뜻을 고수하는 경우가 많았다.